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코틀린
- 모두를위한R데이터분석입문
- 코딩연습
- 대학교재
- 소수경로
- PrimePath
- 알고리즘
- 혼공C
- r
- 문제해결
- 코딩테스트
- 혼자공부하는C언어
- Algorithm
- 기술
- c언어문제풀이
- 코딩
- c프로그래밍
- 모두를위한 R데이터분석
- C언어
- IT
- 빅데이터
- 연습문제
- 데이터처리
- c++
- 혼공씨
- Python
- 빅데이터입문
- 도전실전예제
- 대학교재풀이
- 초보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35)
Jupitor's Blog

c언어에서 malloc, realloc 등으로 메모리를 할당하고 free로 메모리를 반환할때, 이미 해제된 메모리를 또 한번 잘못 free로 반환하게 될 경우 자칫하다간 심각한 오류를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free로 해제시킨 포인터에 NULL을 할당하여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그렇다면 free 함수 자체가 해당 포인터가 가르키는 메모리를 해제 한 후 포인터에 NULL을 대입하면 되지않는가?? 라고 할 수 있는데, free의 프로토 타입을 한번 보자. void free(void *ptr) 다들 알다시피 free 함수에 매개변수로는 포인터의 주소가 간접참조되므로 포인터의 주소 자체를 변경할 수는 없다. 그래서 위에서 말했다 시피 free 문을 쓰고 난 후 ptr = NULL 을 해주거나 이게 귀찮으면..

부록에 나오는 선택정렬을 c언어로 한번 구현해 봤습니다. 간단합니다. 첫번째 항부터 마지막 바로 전 항까지, 해당 항을 제외한 나머지 항들을 비교하고 해당 항이 비교항보다 클 경우 두 항의 위치를 변경합니다. 뭔가 말로 설명하면 부족한데, 코드를 보시면 이해가 가실 겁니다. 가장 시간이 오래 걸리는 경우는 오름차순으로 정렬되어있는 배열이겠으므로, (n-1) + (n-2) + ... 1 = Big-O(N^2) 이고 Big-Ω(1) 이겠네요. 실행 결과입니다.

책의 마지막 챕터의 도전 실전 예제입니다. 어렵습니다. =.=;; 정말 전 c언어에 재능이 없는듯... 실행 결과입니다. 운영체제마다 Ctrl + z을 몇번 입력하느냐에 따라 scanf 가 -1 을 반환하는 경우가 다르다고 하네요.

마찬가지로 간단한 c언어 문제입니다만 저한테는 정말 간단하지가 않군요... b.txt의 단어들 중에 a.txt에도 존재하는 단어들만 c.txt에 적어두는 프로그램입니다. a.txt, b.txt, c.txt 의 내용은 이와 같구요. 소스코드입니다. 결과 화면입니다. 정말 쉬운건데도 정말 어렵네요 ㅡ.ㅡ;; 역시 명불허전 c언어...

혼자 열심히 썼는데 아까워서 ㅡ.ㅡ;;; 블로그에 저장하려고 올립니다. 학생 정보를 읽을 파일은 students_list.txt 에 저장해두었습니다. 책에 나온 문제랑은 좀 다르게 Grade 별로 나누었습니다. 뭐 사실 간단한 코드입니다.

이번 장은 데이터 시각화에 관한 파트입니다. 데이터를 한눈에 보기 쉽게 만들 수 있는 굉장히 중요한 부분이죠. 아마 많은 분들이 관심이 있으실거라고 생각합니다. 뭐 이렇게 말해봤자 책이 없는한 이 포스트를 보는 의미가 없죠 ^.^; 제가 그 내용을 뭐 가르쳐드리는 것도 아니고. 단지 이런 결과물이 나온다, 정도로만 봐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문1. 문2. 문3. 문4. 문5. 모자이크플롯을 살펴보면 눈색깔이 갈색이면서 머리색깔이 블랙인 인구가 머리색깔이 검정색이고 다른 눈 색깔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의 수보다 훨씬 많은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즉 머리 색깔이 검정색인 사람들 중에서 갈색 눈동자를 가진 사람이 절반이 넘는다는 것이죠. 문7. 문8. 문9. 문10. 문11. 문12. 문15. 마찬가지로 틀린..

aggregate 함수의 by가 굉장히 이해가 안가는군요. 다음은 help에 aggregate에 대해 검색했을때 나오는 예문입니다. 이게 그 결과문이구요. 현재 저로써는 이해가 안가네요; by에 쓰이는 list가 testDF 내에 있는 열이 아닙니다. 그렇다면 도대체 어떤 방식으로 뽑는건지... 누가 저 좀 댓글로 설명 좀 해주세요 ㅠ.ㅠ 문1. 문2. 문3. 문4. 문5. 문6. 문8. 문9. 문10. 문11. 문12. 문13. 문15. 14번 문제의 경우 굉장히 이해가 안가더군요. 소괄호 2번 문제에서 역 이름과 날짜별로 인원을 집계하라고 나와있는데 역 이름은 깨지고, 뭐 이건 그렇다 치고 데이터 자체가 일별 탑승인원과 하차인원이 나와있는데 이걸 날짜별로 '집계'하라...? 집계 하라는 말에서 agg..

쉬워서 그런지 역시 하다보면 재밌는게 R인거 같네요. 이번장은 6장입니다. 마찬가지로 이전 문제와 너무 똑같거나 너무 반복이다 거나 싶은것들은 제쳐두고 풀었습니다. 수정이 필요한 부분이 있다면 댓글로 달아주세요~! 문1. 두 변수의 상관관계를 알려주는 cor 지수의 절대값이 0.5 이상이므로 두 변수 spee와 dist의 상관관계는 높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책에 cor지수가 0.5 이상일 경우 상관관계를 인정할 수 있다고 나와있네요) 문2. cor지수가 0.7544923으로 높습니다. 위와 마찬가지로 상관관계가 높다고 볼 수 있겠네요. 문3. 보통 x,y 그래프에서 산포도의 형태가 대각선을 그릴 경우 상관관계가 높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그나마 Income과 Illiteracy(문맹률) 변수간의 상관..